세계경제 양극화 … 하반기 한국경제 4.3% 성장
세계경제 양극화 … 하반기 한국경제 4.3% 성장
  • 예천신문
  • 승인 2011.07.13 17: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주현 현대경제연구원장 7월 조찬포럼 `세계경제 패러다임 변화와 한국경제' 강연

사단법인 예경포럼(이사장 이상연) 7월 조찬세미나가 지난 7일 오전 7시 서울 역삼동 르네상스 서울호텔 다이아몬드볼륨에서 김주현 현대경제연구원장을 초청한 가운데 개최됐다. ‘세계경제 패러다임 변화와 한국경제’를 주제로 열린 이날 조찬 세미나에서는 이상연 이사장을 비롯해 자문 위원, 회원 등 70여명이 참석했다.

◇ 이상연 회장
◇ 김주현 원장
이상연 이사장은 인사말을 통해 “예경포럼이 지난 2009년 1월 변정구 명예회장을 중심으로 창립한 뒤 고향 출신 기업인들이 서로 도움이 되는 경제단체로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과 열정을 쏟아 왔다”며 “조찬 포럼이 회원들을 중심으로 더욱 활발한 정보교환과 폭넓은 교류를 기대하며 오늘 김주현 원장의 강의가 회원들의 기업경영에 많은 도움이 되길 기대하며 9월 월례회 때 더 밝은 모습으로 만나자”고 말했다.

이어 진행된 초청강의에서 김주현 원장은 “현재 우리경제가 어디쯤 와 있고 어디로 흘러 갈 것인가? 21세기 10년은 과거 100년간의 변화보다 엄청난 속도로 바뀌고 있다며 민족, 종교 간의 갈등과 함께 중동의 민주화 열풍이 거세게 불고 있다”며 “과거 30∼40년간 집권해 왔던 이라크의 무바라크 퇴진과 시리아의 카다피 붕괴압력이 그 사례라며 세계 경제시장의 흐름 또한 급류를 타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한국은 산업화 시발점인 1962년 경제개발 1차년 계획이 발전의 고삐를 당겼다. 당시 1인당 국민 소득은 104달러에 불과해 태국(1백13달러), 대만(1백72달러), 필리핀(1백53달러)등이 모두 우리나라를 앞섰다. 당시 필리핀이 우리나라에 장충체육관을 지어줄 정도로 잘 살던 나라였다.

세월이 흐른다고 다 잘 사는 것이 아니다. 태국, 필리핀은 우리나라가 1백64배라는 놀라운 성장을 했는데 그들은 50년이 지난 지금 거의 그대로 있다”며 세계 경제 역사상 50년 만에 비약적 발전을 이룬 나라는 한국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1960년대 한국의 경제규모 세계 40위권에서 88올림픽을 계기로 16위로 부상했고, 2009년에는 15위로 올라섰다. 1962년 미국 경제규모가 5천8백억 달러로 2위부터 나머지 국가를 다 합쳐도 미국을 따라가지 못했을 만큼 세계 경제의 중심축이 미국이었다.

하지만 1988년 일본이 미국의 절반 수준으로 따라 잡고 일약 세계2위 대국으로 우뚝 선 뒤 중국이 그 뒤를 잇고 있다. 우리나라의 양쪽에 중국과 일본이 자리하면서 아시아권이 급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2030년이 되면 인도가 3위로 급부상 하고 중국, 일본, 한국 등 아시아경제권이 세계경제 규모의 40% 차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최근 국내 경기의 특징에 대해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우리 경제는 선진국보다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수출증가율(24%)과 설비투자증가율(12.7%)에 힘입어 수출이 경기회복을 선도하고 있지만 내수로의 확산은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김 원장은 또 “제조, 서비스업간 경기 차별화가 지속되고 있고 경제성장률에 비하여 신규 취업자 수가 낮고, 청년실업률이 높은 경기와 고용시장의 괴리가 여전하다”고 말했다.

올 하반기 세계 경제는 4.3% 성장률이 예상되고, 미국 2.5%, 유로지역 2.0%, 일본 마이너스 0.7%로 선진국이 2.2%의 성장하고 중국(9.6%), 인도(8.2%) 등 개발도상국은 6.6%의 고성장이 예상되며 한국은 세계 경제 평균성장률을 따라가면서 4.3%∼4.5%를 달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하반기 민간소비 증가율은 3.7%로 소폭 둔화(2010년 4.1%)와 설비 투자 증가율은 8.5%로 대폭 하락(2010년 25%)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김 원장은 마지막으로 경제 정책의 장·단기 과제에 대해 “경기회복 기조유지, 민간투자 활성화를 통한 투자위축에 대처하는 능력, 지속적인 고용창출 노력, 가계부채 증가와 부동산시장 경색으로 인한 금융위기 재발 가능성 차단”등을 주문했다.

또 “아시아 경제권의 부상과 저탄소경제 시대에 대비해 글로벌경제 패러다임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처하고 차세대 성장 동력 발굴, 사회적 자본의 축적 등이 시급한 주요 정책 과제”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