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의 진흥은 국가발전의 토대
농업의 진흥은 국가발전의 토대
  • 예천신문
  • 승인 2017.03.03 17: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홍승하  ·예천읍 동본리
 고향마을이 읍내에서 가깝기에 가끔 다녀오곤 한다.

 마을회관에서 어르신들과 과거 어렵게 살았던 일들을 추억할 때가 많이 있다.

 고향마을에서 유소년과 청년시절을 그분들과 같이 보냈었기에 공감하면서 이야기꽃을 피운다.

 지난날 보릿고개를 넘길 때에 식량이 떨어져 어려웠던 일들과 땔감이 부족하여 내를 건너고 산을 넘어 먼 산에 가서 땔감을 구해오던 일들을 모두가 생생하게 기억하는 것은 그때 우리의 삶이 너무나 힘들고 고생스러웠었기 때문일 것이다.

 오늘날 우리 농촌은 과거의 절대적 빈곤에서 벗어나 발전의 길을 걸어와 복지농촌을 향하여 나가고 있지만 장애가 되는 문제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가장 큰 문제점은 도시와 농촌의 소득격차라고 본다.

 앞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복지농촌의 목표에 도달하기가 어려움은 물론 국가발전에도 지대한 영향을 초래할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도시와 농촌의 소득을 비교해 보았을 때 그 격차가 현저함을 알 수가 있다. 그 원인은 정부의 저곡가 정책에 기인한다. 농민들의 목소리는 한결같다. 농사를 열심히 지어도 소득이 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해마다 농자재비, 인건비, 농기계 임대료 등은 상승 하고 있는데 반하여 쌀을 포함한 농산물 가격은 하락 내지는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으니 그럴 수밖에 없지 않겠는가. 이러한 현실에서 젊은 사람들은 농촌에 남으려 하지 않게 되고, 귀농을 권유한들 누가 선뜻 농사지으러 온단 말인가. 농촌에서는 벌써 애기 울음소리
가 끊어진지가 오래되었다고들 한다.

 선진국들은 국가정책으로 농업을 포기하지 않고 육성을 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그렇지 않는 것 같다. 최근 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곡물자급률은 24% 정도라고 한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중 최하위 수준이라고 하며 쌀을 제외하면 자급률이 5%수준 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농업은 공장에서 물건생산 하듯이 필요하면 공급을 일시에 늘릴 수가 있는 산업이 아니다.

 만약 국제정세에 따라서 식량을 무기화한다면 돈을 주고서도 목이 매일수가 있고 또 기상이변으로 세계적으로 큰 흉년이 든다면 국제시장에서 곡물가격이 급등하여 큰 어려움에 직면할 것이다.

 식량자급이 중요한 이유는 또 있다. 우리가 직접 생산한 신선한 식품을 이용해야만 국민건강을 증진시킬 수가 있다는 점이다.

 경제이론중에 비교우위론이라는 것이 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경제정책은 이 이론에 입각하여 공업우선정책이 추진되어 왔다. 공업화 정책이 성공하여 절대적 빈곤에서 탈피하였지만 여기에는 농촌의 희생이 따랐다.

 저곡가 정책이 국가경제성장에 기여를 해온 것도 사실이다. 이제는 상황이 다르다. 농업을 국가정책에서 후순위 산업이 아닌 성장산업으로 중요성을 부여하고 육성해야 한다.

 지금 우리경제는 선진국의 문턱에서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저성장, 고실업, 저출산 등 산적한 문제가 한두 가지가 아니다. 이러한 경제위기에서 탈출하는 길을 발전가능성이 있는 농업, 농촌에서 찾아보아야 한다.

 경제학자들은 농업의 발전 없이는 선진국으로 진입이 어렵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오늘날 선진국들은 농업국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들은 농업을 중요시하고 발전시켰기에 선진국의 대열을 달리고 있는 것이다.

 새롭고 실효성 있는 농업정책으로 농업, 농촌이 번영하고 국가가 발전하기를 소원해 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