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청 이전 신도시 건설 사업이 지난해까지 행정적 절차를 추진하고 용지보상을 위한 토지 및 지장물 조사를 실시하는 등 로드맵에 따라 차근차근 진행되고 있다. 이에 도청 이전 신도시 건설 사업 추진 현황을 몇 차례에 걸쳐 살펴보는 지면을 마련했다. 〈편집자 주〉
지난 2008년 6월 9일 도청이전예정지를 지정한 이래 지난해까지 신도시 기본계획 수립, 사업시행자 선정, 개발예정지구 지정 등 행정적 절차를 추진하고, 지난해 7월부터 12월말까지 용지보상을 위한 토지 및 지장물 조사를 실시하였다.
올해는 지난 1월 31일 보상계획을 열람·공고하고, 3월부터 5월 말까지 감정평가를 거쳐 6월 14일 보상가를 개별 통보하여 현재 협의보상이 진행 중이다.
도청 및 도의회 신청사 건립공사는 지난 2월 대우건설컨소시엄을 시공사를 선정하여 7월말까지 실시설계를 마무리하고 건설기술심의와 건축협의 등을 거쳐 빠른 시일내에 착공에 들어갈 계획이다.
또한, 신도시의 청사진인 개발계획은 지난해 11월부터 착수하여 그동안 수차례 전문가 회의 및 자문 등을 거치고 8월중 이를 확정하고, 이에 따른 실시계획을 연말까지 수립하여 내년 상반기 중에 본격적인 기반조성공사를 착수할 계획이다.
하지만 도청이전의 필요성에는 공감하면서도 도청이전예정지에 대해서는 지역간 첨예한 갈등만을 표출한 채 표류해 왔다. 그러다 지난 2006년 6월 민선 4기 김관용 도지사가 도청이전을 공약사업으로 발표한 이후, 도청이전 T/F팀을 구성하여 도청이전 후보지에 대한 공모·심사·선정 등 어려운 과정을 거쳐, 대구시가 분리된 지 27년만인 2008년 6월 9일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면 일원을 도청이전예정지로 지정·공고함으로서 추진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도청이전예정지는 안동시청에서 21.5㎢, 예천군청에서 10.2㎢ 떨어진 안동시와 예천군의 경계지역으로서, 안동과 예천지역은 「도선비기」와 「정감록」에 십승지(十勝之地)로 기록되었듯이 예로부터 풍수지리적으로 좋은 길지로 평가되어 왔다.
도청이전신도시는 사신사(四神砂) 분석에서 태조산인 태백산에서 출맥한 용맥이 도청이전지 주산인 검무산에 이르러 크게 개장(開帳)하여 좌청룡 정산과 우백호 거무산을 기봉시키고 나아가 안산인 마봉, 시루봉을 거쳐 낙동강과 임한 형세로서 서울과 유사한 지세를 가진 곳이다.
또한 전형적인 배산임수의 형태를 띠고 있어 바람을 가두고 물을 얻는 ‘장풍득수’형의 명당 도읍지로 평가되고 있다.
경상북도는 도청이전을 단순한 도청소재지 변경이 아닌 미래 경북천년의 새로운 도읍지를 마련하고, 낙후된 경북 북부권의 새로운 성장 거점을 마련하는 신도시 개발사업으로 추진한다.
도청이전신도시는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면 일원 10.966㎢(3백30만평)에 오는 2027년까지 사업비 2조 5천억원을 투입하여 경북의 역사와 전통이 살아있는 `문화도시', 저탄소 녹색성장을 주도하는`생태도시', 경북의 신성장을 이끌어 가는 `명품 행정·지식산업도시'로 개발하는 프로젝트 사업이다.
도청이전신도시건설 사업시행자인 경북개발공사에서 신도시의 개발 및 실시계획을 지난해 11월부터 동명기술공단 등에 용역을 통해 수립중에 있다. 금년 7월까지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한 실시계획을 연말까지 수립할 예정이다.
일단 도청이전신도시는 안동·예천지역의 유교문화유산과 인근의 하회마을 등을 고려하여 한국적 이미지를 담은 문화도시를 구현하고, ha당 인구 1백인 이하, 녹지율 30%이상, 도시중심에 인공수로를 통한 수변도시 조성 등 저밀도의 생태도시로 조성하며, 행정기능의 이전과 동시에 대학 및 R&D기관의 유치를 통해 세종시와 같은 복합형 자족도시로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도시의 교통, 방범, 방재 등 행정서비스와 보건, 교육, 의료 등 민간서비스가 휴대전화 하나로 이용하는 스마트-시티를 구축하고, 태양광과 지열 등을 이용하는 신재생에너지 설비 도입, 생활폐기물이 지하로 이동하는 생활폐기물 자동 집하시설 설치, 폐기물을 활용하여 전력과 열에너지를 생산하는 경북북부권 환경에너지 타운 조성 등 에코-시티를 시범 조성 등 누구나 살아보고 싶은 매력적인 첨단도시를 계획하고 있다.